2021. 10. 17. 02:45ㆍ별 일 없이 산다
한라산에 다녀온 지 어느덧 2주 가까이 지났다. 내려오는 길은 정말 힘들었지만, 머릿속을 떠나지 않은 궁금증이 하나 있었다. 죽어도 다시는 안 온다, 라는 십수 년 전의 결심 말고는 기억에 남는 것이 별로 없었던 첫 번째 등반을 곰곰이 되돌려 봐도, 이렇게 고사목이 많았던 기억은 없었는데... 너무 실신상태여서 기억에 없거나, 아님 고사목이 별로 없었거나.
그런데 이 정도라면 내 기억에 없을리가 없는데, 특히 임연수 살 발라놓은 가시 같은 나무들 - 즉, 먹을 것과 관련된 것, 특히 생선과 관련된 것을 잊을 리가 없는데......
아래 사진은 내가 찍은 고사목 지대 사진이다. 성판악, 관음산 방향 모두 고사목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틈틈히 한라산 고사목과 관련된 검색을 했는데 일기로 남겨두어야 할 것 같아서 기사를 몇 개 정리해본다.
고산 침엽수의 고사 원인은 이른 봄 고온과 가뭄, 스트레스 탓일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가뭄으로 수부 공급이 부족하면 광합성을 제대로 하지 못해 고사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고. 국립 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척박한 능선부에서도 침엽수가 잘 사는 이유는 나무뿌리와 곰팡이의 공생관계인 균근 때문인데, 이른 봄에 고온, 가뭄이 나타나면 균근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고 한다.
한라산 구상나무 고사는 강수량 증가탓이라는 분석도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토양 수분 과다가 원인인데,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연구팀은 강수량이 많고 경사가 완만해 토양의 수분 함량이 높은 지역 그리고 일사량이 적을수록 고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한편 자연수명에 의한 것이거나, 구상나무가 너무 밀집해서 자라는 것도 원인일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한다.
하지만 최근들어 39% 이상 숲이 쇠퇴하고 고사목이 증가한 것은 이상현상이기 때문에 정밀한 추적조사와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는데, 자연 수명에 의한 것이라고만 해석하는 것은 안일한 대응이 아닌가 싶다.
http://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3586
사라져 가는 한라산 구상나무, 원인은 '강풍과 기후변화' - 헤드라인제주
한라산 구상나무가 태풍의 강한 바람과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 상승으로 인해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박현)은 점차 사라져가는 제주도 한라산
www.headlinejeju.co.kr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1005/109565869/1
‘한라산 명물’ 구상나무, 고사 원인 두고 전문가 의견 분분
세계적으로 보기 드물게 대규모 숲을 형성하고 있는 한라산 구상나무의 고사 원인이 태풍에 의한 강한 바람과 숲의 연령 구조에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반면에 강풍보다는 토양 수…
www.donga.com
https://h21.hani.co.kr/arti/photo/story/51039.html
최후의 구상나무
한라산 구상나무 집단 고사 지역
h21.hani.co.kr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212137
한라산 고사목 지대 구상나무·시로미 복원 ‘파란불’ - 제주의소리
제주도 한라수목원 ‘희귀·특산식물 양묘포지 조성사업’ 완료…매년 2~3만본 생산 공급 구상나무를 비롯한 한라산 희귀·특산식물 묘목 생산이 본격화되면서 한라산고사목 지대에 대한 복원
www.jejusori.net
==> 이건 2018년도 기사인데, 이 이후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하네. 5-6년 이후에는 한라산 고사목 지대를 중점적으로 복원한다 했는데, 아, 아직 5-6년이 지나지는 않았구나.
사람도 스트레스로 죽어나가는데, 나무라고 별 수 있으랴.
하얗게 변해버린 적나라한 고사목지대를 지나고 나니 스트레스가 더욱 섬뜻해진다.
한라산 고사목도 그렇고, 그리고 이제 곧 일로 복귀해야 하는 나 자신도 그렇고,
스트레스를 줄여가며 건강하게 살아야 할 텐데. 대책이 시급하다.
일 년을 쉬었는데도, 다시 일중독자의 삶을 살지 않겠다는 자신이 없다.
아무튼 나도 나지만, 한라산 고사목은 진짜 시급하다.
꾸준히 관찰하고 추적해서 대책을 마련해주시겠지.
관심을 가져야 할 것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어서 피곤하지만,
한라산 고사목은 잊지 말고 틈틈히 검색해볼 수 있도록,
적어도 6개월, 그리고 1년 주기로 검색할 수 있도록 알람을 해둬야겠다.
휴대폰 알람 설정 완료!
'별 일 없이 산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10.24] 1년 놀아도 안 죽어-띄엄띄엄 제주걷기 17 : 이사짐 정리, 냉장고 채우기는 쉬운데 비우기가 쉽지 않다 (0) | 2021.10.30 |
---|---|
[2021.10.22] 1년 놀아도 안 죽어-띄엄띄엄 제주걷기 16 : 공항 검색대에서 자꾸 걸리는 진짜 문제를 발견 (0) | 2021.10.23 |
[2021.10.16] 1년 놀아도 안 죽어-띄엄띄엄 제주걷기 14 : 뒹굴뒹굴 빈둥빈둥, 그리고 놀아도 놀아도 더 놀고 싶은. (0) | 2021.10.17 |
[2021.10.14] 1년 놀아도 안 죽어-띄엄띄엄 제주걷기 13 : 쓰레기, 쓰레기 ㅠㅠ (0) | 2021.10.14 |
[2021.10.11] 1년 놀아도 안 죽어-띄엄띄엄 제주걷기 12 : 제주에서 버스타기 (0) | 2021.10.12 |